윈도우 3.1은 설치보다 설치 후 구동을 위한 환경구축이 더 중요합니다. 가상운영체제로 에뮬레이터 되기에 더욱 그렇습니다
윈도우3.1 설치 및 SB 사운드 드라이버 세팅을 마치고 WAVE. MIDI. AUDIO CD기능을 테스트한 영상입니다
부팅이 완료되면 프로그램 관리자가 실행됩니다.. 프로그램 관리자가 곧 윈도우 입니다.
프로그램 관리자를 종료하면, 윈도우도 종료됩니다.
기본프로그램의 구성박스입니다. 윈도우3.1을 설치 후 제일먼저 수행할 VGA 설치와 장치제어기 등록을 위한 필수그룹입니다
설치관리자와 제어판이 가장 중심적 역할을 하며 드라이브 확장과 탐색기 역할을 하는 파일관리자가 속해 있습니다
제어판을 열면 하드웨어 작동에 필수적 역할을 하는 제어기가 있습니다.
사운드와 미디에 관한 모든 장치관리자 역할을 담당합니다
윈도우와 크리에이티브 사운드 설치 후 제어판의 제어기 기본구성 항목입니다. 미디메퍼와 미디시퀀서는 설정탭이 비활성
상태(정상)이며 오디오CD는 [추가]를 눌러 장치를 등록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실행전 도스박스에서 실제
시디롬 드라이브를 마운트 후 부팅해야 탐색기에서 오디오시디롬이 잡힙니다). 보조프로그램 매체재생기의
오디오 재생 구성은 [윈도우소리/ 미디시퀀서/ 오디오CD] 3종입니다
보조프로그램 그룹의 매체재생기는 (소리/미디/오디오CD)장치를 재생하는데 재생하기전 위 장치가 활성화 되어야 합니다. 특히
오디오CD는 부팅전 도스박스 상태에서 가상이 아닌 실제시디롬 드라이브가 마운트되어 있어야하며 실제 음악CD가 삽입되어
있어야 매체재생기의 장치항목이 표시됩니다. 그렇지 않을경우 [CD오디오]라는 항목 자체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제어판 제어기의 장치설치는 [추가]탭을 눌러 [확인]하며 이때는 도스박스 상태에서 가상드라이브에 윈도우3.1 설치 원본파일
(ISO)이 마운트되어 있어야 합니다. 모든 드라이브는 윈도우 상태에서 마운트하면 인식을 못합니다. 반드시 윈도우 부팅전에
마운트해야 합니다. 이러한 드라이브 인식은 탐색기인 파일관리자와 매체재생기에서도 동일합니다. 부팅전 필히 마운트 되어
있어야 드라이브가 나타납니다
기본프로그램 그룹의 파일관리자(탐색기)를 열었습니다. 파일복사, 이동을 위한 드레그앤드롭은 지원하지않습니다. 위에
설명했듯이 탐색기 상단 드라이브명에 C. D. Z 드라이브만 나옵니다. D:는 도스박스에서 음악CD를 넣은 실제CD-ROM을
마운트 후 부팅했기에 파일관리자에서 드라이브가 나타납니다. A:는 마운트를 하지 않았기에 드라이브항목 자체가 없습
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것은 윈도우3.1의 드라이브확장관리는 윈도우가 아닌 도스박스에서 실행한다는 사실입니다.
기타의 가상머신도 운영체제가 아닌 가상머신 자체에서 장치 드라이브를 추가 등록하는 것입니다. VM웨어와 버츄얼박스
도 확장ADD를 통해 드라이브를 관리하는 것이죠..윈도우가 아닌 가상머신 자체에서~~
사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윈도우를 재 시작하면 위와같이 [오디오소프트웨어] 라는 그룹이 생성됩니다. 여기서 항목
별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위에 언급한 제어판 제어기에서 장치등록이 되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마찬
가지로 오디오CD는 부팅전 실제드라이브가 마운트된 상태에서 오디오CD가 들어 있어야 구동이 가능합니다. 미디
제어기는 특별한 설치없이 사운드 드라이버 설치 후 매체재생기의 샘플재생을 눌러 소리가 나오면 정상입니다.
미디음원은 가상에뮬레이터로 구동을 하므로 윈도우 자체의 기본설정이 되어있으면 특별히 설정할 항목은 없습니다.
사운드카드의 중요한 부분이 미디재생 기능입죠. 미디는 단순히 윈도우에서 재생되는 소리가 아닌 게임의 배경음과
특수음향 그리고 노래방 CD의 반주음원 재생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요. 사운드 드라이버 설치후
위의 [Cocfiguration] 박스의 채널 설정값을 반드시 기억해요. 이는 SB사운드 설치시 제어기 복사설치 과정에서 미디
설정 기본값이 깔리는데 그 수치를 그대로 에뮬레이터 하는 표준값이죠. 제어기의 장치등록 할때 잘못하여 미디제어
값이 돌아가 버리면 재생이 안됩니다. 그때는 위 박스의 채널값을 보고 수정해야 재생이 됩니다.
설치된 WAVE STUDIO 에서는 CD를 불러와 웨이브로 녹음 컨버팅 하거나 WAVE음원을 리핑하는 편집프로그램입니다.
아쉽지만 MP3 또는 MIDI음은 불러올 수 없습니다. 윈도우3.1 이 출시된지가 어언 30년이 다됐으니~ 녹음설정도 기본
기능만 지원하고 고급 샘플링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사운드블라스터 제공의 오디오CD 재생기는 비쥬얼은 화려하지만 윈도우의 기본 매체재생기에 비해 가끔 에러를
발생합니다. 종료시 알 수 없는 충돌메시지가 나오는데 트랙이동과 순서바꾸기 등에서 충돌이 발생합니다. 그냥
듣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조금 찜찜하죠. 이렇듯 사블의 유틸은 통합재생기(WAVE, MIDI, AUDIO CD)가 아니고
플레이어가 전부 따로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윈도우의 매체재생기는 웨이브와 미디, 오디오시디까지 장치선택
이 가능하므로 재생관리가 편리합니다. 매체재생기는 파일관리자 C:Windows 폴더와 보조프로그램 그룹에 위치.
실시간 녹음을 시도해 봤으나 심한 잡음과 함께 기능이 먹통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믹서 이퀄라이저를 컨트롤
하는 리모컨 드라이버가 원래 포함되어 있는데 본 드라이버에 빠져 있어서 설치가 불가합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위와같이 믹서아이콘 누르고 사운드메퍼 효과를 해지하고 나서 (녹색 포인트에 마우스 좌클릭) 문제를 해결
했습니다. 가상머신에서 완전한 멀티미디어 구축은 아직까지 많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다만 도스박스에서
이정도라도 지원하니 다행입니다. VM 웨어와 VirtualBox 에서는 아예 사운드 드라이버가 없어
소리조차 들을 수 없으니까요
원인조치 후 녹음이 진행됩니다. 하지만 녹음을 저장할 폴더를 마음대로 지정할 수 없는 등 완전히 사용가능한 단계는
못됩니다. 도스게임과 미디음원 재생, 오디오CD 재생, 그리고 멀티미디어 학습타이틀 및 노래방CD 재생에는 막힘없이
양호한 수준입니다
이번엔 WAVE STUDIO가 아닌 [Soundo'LE]를 이용해 위와 같이 레코딩설정을 하고 녹음을 시도해 봤습니다. 정상적인
음원은 녹음되지 않고 티딕거리는 잡음만 녹음되는군요.. 결국 게스트에서 레코딩은 불가판정.녹음은 필요하다면 호스트
에서 작업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엔 사운드블라스터 응용프로그램을 닫고 윈도우3.1 자체에서 제공되는 매체재생기와 녹음기를 가동하여 녹음을
시도하였으나 음원소스를 불러오는 기능도 없고 녹음체널 설정도 없어 레코딩 자체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그 외
녹음을 제외한 각종 음원재생은 시원스럽게 뽑아 주기때문에 30년전 윈도우 3.1 이 세상에 나왔을때 신비의 세계로
온듯한 착각에 빠질정도로 쨍한 음원을 들을 수 있습니다
[그림판 / 윈도우 페인트]
[문서작성기(현재의 워드패드)와 메모장]
[모뎀.전화 연결을 위한 터미널]
보조프로그램 그룹 [시계. 계산기. 녹음기. 일정표]
[제어판-제어기-사운드메퍼]
[데스크탑 설정-책상정리]
기본프로그램 [파일관리자]
[C:Windows폴더의 Winhelp 윈도우도움말 파일]
1995년도 세진컴퓨터랜드의 멀티미디어 주력PC 세종대왕과 진돗개에 번들로 탑재되었던 [세광 즐거운노래방 CD]의
실행프로그램 그룹입니다. 그 당시 기술로 멀티미디어 PC업계 제왕임을 선언했던 세진의 야심찬 의지가 보였던
제품이고 상당한 주목을 받았던 프로그램들이죠. 지금도 CD가 남아있어서 구동해보니 기가차게 잘 돌아가네요.
한글 윈도우3.1에 [세광즐거운 노래방]을 설치합니다
노래방 프로그램관리 그룹창이 형성됩니다 [YES]
영상노래방 화면제공을 위한 윈도우 비디오(wmv)가 설치됩니다. (노래방 설치원본을 마운트해야 합니다)
윈도우를 재 시작합니다
Video for Windows 설치까지 해서 이젠 윈도우 매체재생기 (Media Player)의 재생장치 (Device)가 4개로 늘어났다.
설치가 완료되고 [세광 즐거운 노래방]이 실행됩니다
윈도우비디오(wmv) 모드를 지원한다는 화면이 제공됩니다 (드라이버가 없어 고화질의 soft-mpeg은 불가능 합니다)
사운드재생 설정 화면입니다. 노래방CD에 탑재된 음원은 사운드카드가 아닌 미디음원입니다. 그래서 사운드카드의
미디음원 드라이버 지원이 매우 중요한거죠. 확인결과 사운드카드는 물론 미디맵퍼 까지 확실하게 음원이 터집니다
세광노래방 메인화면이 나왔습니다. (영상가요/ 온라인 노래방/ 노래배우기/ 게임)의 4가지 모드를 제공합니다
온라인 노래방은 위에 생성된 그룹으로 인터넷이 지원안되면 당연히 사용불가 입니다.
[경상도 아가씨] [나훈아 - 강촌에 살고싶네] |
본 노래방 음원을 윈도우3.1과 윈도우98에서 비교해보니 윈도우3.이 좀더 입체적인 스테레오가 명확하고 음이 쨍합니다.
반면에 잡음이 심하고 음원이 뚝뚝 끊기는 현상이 생기고 윈도우98은 베이스효과가 풍부하고 소리가 부드러우면서
끊김이 없는 대신 윈도우3.1처럼 쨍한 스테레오 입체감이 부족합니다 (지원하는 사운드카드의 차이로 보입니다)
이제 곡번호를 눌러 실제 노래방을 시작하는 화면입니다. 전면의 영상화면과 음악은 은 잘나옵니다. 원래 화면 중앙에
마우스를 더블 클릭하면 영상화면 확대와 축소가 지원되는데 비디오 드라이버 문제로 가상머신 WIN3.1에서는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 .
선곡 탭을 눌러 원하는 곡을 찿습니다. 총 3,952곡이 들어있습니다. 640MB CD 1장에 3,900곡이라니 무척 놀랍습니다
[영상가요 모드]
[노래배우기 모드]
[장르선택 화면]
[게임모드]
[나도 명가수 모드]
[노래궁합 게임]
[선택X시대 게임]
[세광 멀티미디어 교육CD 소개]
[당시 세광은 성인용, 아동용 등 수십종의 멀티미디어 교육CD 타이틀를 보급했습니다]
'PC 탐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머신 윈도우3.1 [세광 즐거운 노래방 / 한가족노래방] (0) | 2019.05.21 |
---|---|
MIDI SOUND [Synth Font] (0) | 2019.05.21 |
도스박스로 윈도우 3.1 사운드 드라이버 설치하기 (0) | 2019.05.18 |
도스박스로 윈도우 3.1 VGA 드라이버 설치하기 (0) | 2019.05.18 |
도스박스로 윈도우 3.1 설치하기 - 추억으로 떠나는 윈도우 여행 (1) | 2019.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