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수신카드의 전성기는 1995년도 멀티미디어 통합보드에서 출발하여 2000년도 초반에 이르러 성능이 완성에 이른다.
최초 멀티미디어 통합보드 (VGA+TV)는 국내 가산전자와 두인전자가 양맥을 이루었다. 두 업체 모두 지금은
역사속으로 사라졌지만 당시 가산전자의 WinX Perfect 통합보드는 그래픽 메모리 4MB를 장착하고도
TV는 물론 VCD재생까지 거침없이 돌려댔다.
곧이어 국내 두인전자의 오스카V 통합보드가 세진전자랜드의 세종대왕, 진돗개 시리즈에 OEM 납품으로 급부상
하면서 인기는 절정에 이르렀다. 물론 CCTV연결과 외부 비디오 입력을 포함해 아날로그 영상편집도
가능했다. 물론 전기능을 리모컨으로 조정할 수 있음은 당연한 기능이었다.
현재 국내 TV수신카드는 크게 스카이TV, 시그마TV, 디비코퓨전TV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 중에서 내가 사용할 카드는 공짜로 얻은 디비코 퓨전 HDTV 2종이다
HDTV5 RT 실버와 HDTV7 COOL은 윈도우7 64비트를 지원하며
하나의 통합드라이버로 모든 버전을 설치 할 수 있다.
당초 CD로 제공되는 V3.82 드라이버는 호환성과 안정성에 문제가 많았으나 업그레이드 된 V3.91 버전을
설치하면 윈도우XP에서 WIN7-64비트까지 안정된 TV수신화면을 감상 할 수 있다.
아쉽게도 디비코의 모든 드라이버는 윈도우10을 지원하지 않는다
(튜너박스가 탑재된 퓨전 HDTV5 RT Silver는 2005년 발매)
3.91버전은 퓨젼HDTV 모든 제품의 설치 드라이버와 실행 프로그램이 포함 된 버전이다.
HDTV7 Cool, RT Gold, RT Express, Dual Express를 사용하시는 분들께는 이 버전을 추천한다.
Windows7 32/64bit,Windows XP, Windows Vista x86 /x64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으며.
Lite 모델은 64비트 드라이버가 지원되지 않는다.
이 카드는 튜너박스를 제거하여 크기를 슬림화한 RT5 실버의
상위기종 HDTV7 COOL 버전의 TV카드이다. (2007년 발매)
디비코 퓨전 HDTV는 시그마TV와 스카이TV 중에서 화질과 색상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다만 프로그램이 좀 무겁고
딜레이 현상이 있으며, 반면 스카이TV는 화질은 좀 흐리지만 프로그램 안정성에서 완성도가 제일높다.
시그마TV는 화질과 프로그램 안정성 모두 불안정하여 최하의 점수를 받았다
스카이TV는 유일하게 윈도우10을 지원하여 현재까지 생존하는
최장수 TV수신카드 업체로 군림하고있다
퓨전HDTV7 Cool은 기본 제공되는 퓨전 프로그램 외에도 다음팟 플레이어를 활용할 수 있다.
환경설정에서 디지털TV 장치로 인식하여 방송 중인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데. HDTV 수신카드가 있으면
녹화하고 재인코딩하는 과정 없이 실시간으로 파일을 만들 수 있으니 귀찮은 분들은 퓨전녹화
기능 및 KMP와 다음팟 플레이어의 <동영상 캡쳐> 기능을 활용해보라.
디지털 방송과 외부입력 영상 모두 활용 가능하다.
두 제품 모두 PCI 슬롯이다. 운영체제는 윈도우98에서 WIN7-64비트까지 드라이버를 지원한다
단돈 4~5만원으로 100만원대의 HDTV를 감상하며 주요방송을 실시간 녹화도 가능하다
녹화영상은 TS파일로 저장되며 자체 제공되는 컨버팅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XviD 또는 DivX 화질로 컨버팅이 가능하다
디비코 퓨전HDTV는 PCI 내부장착용 외에 USB 방식등 약10 여종이 넘는 제품을 발표했지만
사실 기능에 별반 차이가 없다. TV를 시청하고 녹화하는 기능과 화질은
모든 버전이 다 똑같다
'생활 디지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형 멀티미디어 PC - 내 손으로 직접 조립한다 (10) (0) | 2019.03.08 |
---|---|
맞춤형 멀티미디어 PC - 내 손으로 직접 조립한다 (9) (0) | 2019.03.08 |
맞춤형 멀티미디어 PC - 내 손으로 직접 조립한다 (7) (0) | 2019.03.01 |
맞춤형 멀티미디어 PC - 내 손으로 직접 조립한다 (6) (0) | 2019.02.28 |
맞춤형 멀티미디어 PC - 내 손으로 직접 조립한다 (5) (0) | 2019.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