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C 탐험실

올드컴퓨터 - FDD 오류 증상별 해결팁

by 레트로상회 2020. 11. 1.

 

 

FDD 오류에 따른 증상및 해결방안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동하는 수단으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에 노출돼 충격 받을 기회가 많고 하드디스크에 비해 에러도 자주 발생합니다.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에러와 해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드라이브와 케이블의 연결

상태:A, B드라이브가 반대로 인식된다.

원인:케이블의 연결을 반대로 했거나 CMOS SETUP의 설정 때문입니다.

해결:CMOS SETUP 메뉴중 'Swap Floppy Drive'항목을 Enable로 설정하면 A드라이브와 B드라이브가 바뀝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STANDARD CMOS SETUP'항목의 'Drive A'와 'Drive B'에서는 물리적으로 연결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를 정확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상태:부팅후 드라이브의 LED에 불이 계속 들어와 있다.

원인:데이터 케이블의 연결 오류입니다.

해결:드라이브 LED에 불이 계속해서 들어와 있는 상태는 데이터케이블의 연결 오류에서 비롯됩니다. 하드디스크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빨간색 선과 드라이브 커넥터의 1번 선이 서로 일치하게 꽂혀야 합니다. 또 CMOS SETUP에서 'Drive A', 'Drive B'항목을 잘못 지정했을 때도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상태:모든 디스켓을 인식하지 못한다.

원인:드라이브 자체의 고장입니다.

해결:데이터 케이블의 연결이나 파워 케이블 연결, CMOS SETUP의 설정 값등이 모두 정상인데도 디스켓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디스켓 에러나 드라이브 고장이므로 다른 디스켓에서도 같은 증상을 보이면 드라이브의 고장이므로 A/S를 받거나 교체해야 합니다.

 

디스켓의 인식

상태:이전에 읽은 디스켓의 내용이 출력된다.

원인:플로피 디스크 캐시를 설정했습니다.

해결:디스켓의 내용을 출력하는 'DIR'명령을 내렸을 때 이전에 읽은 디스켓의 내용이 출력되는 현상은 디스크 캐시 프로그램의 영향입니다. 즉, 캐시에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았으므로 이를 삭제해야 합니다. Ctrl+C(Break)단축키를 이용하며, 윈도우 98에서는 [보기]메뉴의 [새로고침] 메뉴를 선택하면 새로 넣은 디스켓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상태:디스켓 인식이 되기도 하고 안되기도 한다.

원인:드라이브에 먼지가 쌓여 인식률이 떨어졌습니다.

해결: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자주 사용한다면 월 1번 정도 헤드크리너로 드라이브를 청소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상태:디스켓을 읽으면서 심한 소음을 낸다.

원인:디스켓의 결함입니다.

해결:디스켓의 특정 섹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디스켓을 읽거나 저장할 때 소음이 납니다. 해당 디스켓의 데이터를 다른 디스켓에 저장한 후 에러가 발생한 디스켓은 시작메뉴-[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도구]의 [디스크검사] 항목을 선택해 치료합니다. 같은 증상이 반복되면 새로운 디스켓을 사용합니다.

 

다양한 에러메시지

상태:General failure reading drive A(B)

원인:포맷이 되지 않은 디스켓을 삽입했습니다.

해결:디스켓을 포맷하고 테스트를 합니다. 같은 증상이 반복되면 디스켓 자체의 고장, CMOS SETUP의 설정 오류, 케이블 연결 오류등의 순서로 문제를 확인합니다.

 

상태:sector not found

원인:클러스터에 불량섹터가 발생했습니다.

해결:시작메뉴-[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 도구의 [디스크검사] 프로그램을 이용해 에러를 치료합니다. 검사할 드라이브 선택 항목에서 에러가 발생한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시작버튼을 클릭합니다.

 

 

 

 

상태:Floppy disk(s) fail(40)

원인: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해결:드라이브에 연결하는 케이블과 메인보드에 연결하는 케이블 모두에는 일정한 방향이 있으므로 양쪽의 케이블 연결을 확인합니다.

 

상태:Not ready reading drive A(B)

원인:드라이브에 디스켓이 삽입되지 않았습니다.

해결:드라이브에 디스켓을 정확하게 꽂습니다.

 

상태:FDD Controller Failure

원인:케이블의 연결에 오류가 있습니다.

해결:데이터 케이블의 연결을 확인하고 CMOS SETUP에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항목이 제대로 설정됐는지 확인합니다.

 

상태:Invalid media or Track 0 bad

원인:디스켓에 결함이 발생했습니다.

해결:포맷을 한 후에도 같은 증상이면 디스켓을 폐기합니다.

 

상태:Non-System disk or disk error

원인:A드라이브에 들어있는 디스켓으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해결:디스켓으로 부팅을 하려면 디스켓에 시스템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부팅 디스켓 생성은 [내 컴퓨터]-[제어판]의 [프로그램추가/삭제] 아이콘을 더블클릭한 후 [시동디스크]탭의 [디스크작성]버튼을 이용합니다. 혹은 도스에서 'sys a:'명령을 내려도 됩니다.

 

상태:Data error reading drive A(B)

원인:디스켓의 손상입니다.

해결:디스켓의 특정 섹터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디스크 검사 유틸리티를 이용해 에러를 치료합니다.

 

상태:플로피디스켓에서 0번 트랙 에러가 자주 발생한다.

원인:디스켓을 10여장 정도 포맷해 봐서 0번 트랙 에러가 9장 정도면 드라이브에 문제가 있습니다.

해결:디스크에서 FAT 같은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곳이 0번 트랙이다. 따라서 디스크의 0번 트랙 에러가 발생하면 전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런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면 디스크 드라이브 교체하도록 합니다.

 

 

 

상태:윈도우즈 95 상태에서 ZIP 드라 이브를 설치한 뒤 스캐너가 작동되지 않는다. 스캔시에 TWAIN 드라이버에 이상이 생겼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시스템전체의 속도가 크게 저하되며 스캐너도 더이상 작동되지 않는다.

원인: SCSI용 스캐너라면 윈도우즈 95용 SCSI 드라이버가 ZIP의 Iomega Parallel Port Zip Interface 드라이버와 충돌하면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해결:스캐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ZIP의 이 드라이버를 장치관리자에서 일단 제거할 수밖에 없습니다. 먼저 "제어판 → 장치관리자 → SCSI 컨트롤러" 와 같이 이동한 후 Iomega Parallel Port Zip Interface를 제거한다. 다시 ZIP드라이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ZIP과 함께 제공되는 guest95.exe를 띄우면 됩니다.

 

상태: 디스켓으로 부팅하거나 파일 복사나 포맷 등엔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 단지 디스켓을 읽어들인 후에 그 디스켓을 드라이브에서 빼고 다른 디스켓을 넣어 읽어들이면 먼저번 디스켓의 내용이 표시된다.

원인: 디스크 포맷 등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이상은 아닙니다.. 이런 현상은 캐시 프로그램이 잘못된 경우에 생깁니다.

해결: 캐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지 않고 테스트했을 때도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면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를 클리너를 이용해 청소해 줍니다.

 

상태:CMOS를 보니 A 드라이브는 5.25인치인데 3.25인치로 인식하고, B 드라이브는 NONE으로 설정이 바뀌어 있다.

원인: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 설정이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설정 등의 정보는 CMOS 램이라는 장소에 저장됩니다. CMOS는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일종의 램으로 CMOS에 담겨진 정보는 배터리에 의해서 유지되는데 이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CMOS가 설정값을 잃고 기본값으로 환원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해결: 따라서 이 문제는 배터리를 교체하면 해결됩니다.

 

상태: 디스켓을 읽으려고 할 때 읽기 에러가 날 경우 파일의 일부라도 살릴 수 있는 방법은?

원인: 디스켓의 데이터를 읽을 수 없다는 것은 하드웨어적인 에러나 컴퓨터 바이러스에 의해 FAT(Fail Allocation Table)의 Boot Directory, Boot Strap영역의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해결: 파일을 완벽하게 복구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링크드 리스트 구조로 되어 있는 FAT의 끊어진 부분을 다시 연결시켜 파일의 일부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방법으로 PC-Tool의 view/edit 메뉴에서 I/O에러가 생기는 섹터를 찾아 Updata를 실행시키면 약간의 복구가 가능하나, 실행형 파일에서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상태: 디스크에 WRITE 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DISK WRITE PROTECTED'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

원인: 보호용탭이 붙어있거나 디스켓불량입니다.

해결: 사용하고 있는 디스켓에 기록 보호용 탭이 붙어 있지 않은지 체크해 본 후 다른 디스크로 시도해 봅니다.

 

상태: 어느쪽 드라이브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WRITE하려고 하면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면서 실행이 중지되거나 또는 디스크에 데이터가 전혀 WRITE되지 않은 경우.

원인: 접속불량입니다.

해결: 모든 케이블이 올바르게 접속되어 있는가. 그리고 단선된 것이 없는 가를 체크합니다. 디스크 드라이브 어댑터 카드의 연결 부분을 청소한 후 시스템을 싱글 드라이브로 구성하여 각 드라이브를 개별적으로 테스트해 봅니다.

 

 

상태: 양쪽 드라이브가 전혀 동작하지 않으며 표시등도 켜지지 않는다.

원인: 케이블 접속불량입니다.

해결: 드라이브의 모든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이 올바르게 접속되어 있는지 단선된 것은 없는지 체크합니다.

 

상태: (FDD)A드라이브로 부팅이 되지 않는다.

원인: CMOS SETUP상에서 부팅우선순위(Boot Sequence 혹은 Boot Option)를 A드라이브로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해결: CMOS SETUP에서 부팅 우선순위를 A드라이브로 고쳐줍니다. 만약, CMOS SETUP은 해주었는데도 생기는 경우라면 우선은 바이러스감염 여부를 조사해 보고, 바이러스가 아니라면 FDD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교체하여 테스해 보고 똑같은 증상이 계속된다면 이번엔 FDD를 교체하여 테스트해봅니다.

 

상태: FDD케이블로 설정한 A:와 B:가 바뀌어져서 인식한다.

원인: CMOS SETUP 설정오류입니다.

해결: CMOS SETUP상에서 옵션이 있습니다. Swap FDD 또는 Swap Flopy Disk등의 Swap이라는 부분이 Enable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이 옵션을 Enable로 하게 되면 하드웨어적으로 잡아놓은 A드라이브와 B드라이브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바꾸어서 인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A드라이브를 5.25" B드라이브를 3.5"로 쓰고 있는경우에 Swap을 Enable로 지정하게 되면 A드라이브를 3.5"로 B드라이브를 5.25"로 인식하게 되므로 플로피 부팅경로도 바뀌게 됩니다.

 

상태: FDD 동작램프가 전원을 켰을때 부터 계속 점등되어 있다.

원인: 케이블선의 연결이 잘못됐습니다.

해결: FDD케이블의 1번선에는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습니다. 또한 A드리이브로 사용하려면 케이블의 중간선들이 한번 꼬여져 있는 부분을 사용해야 합니다. 여기서 케이블의 1번선과 FDD의 1번 핀을 바르게 연결하지 않으면 FDD동작 램프가 동작을 하지 않아도 계속 점등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그러므로 이런 증상에서는 케이블의 1번선과 FDD의 1번선이 바르게 연결되었는지, 또 케이블의 1번선과 메인보드의 FDD포트의 1번핀이 바르게 연결됐는지를 다시 확인 해야합니다.

 

원인: FDD에서 시끄러운 소리가 난다


A. 디스켓을 읽을 때 소리가 심하게 나거나 데이터를 불러오는 시간이 유난히 길다. 디스켓의 수명이 다했거나 특정 섹터에 물리적인 상처가 생긴 것이다. 헤드가 더러워도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헤드 클리너를 이용해 드라이브를 자주 청소한다.
클러스터에 불량 섹터가 있어 디스켓을 제대로 읽지 못할 때가 있는데, 이 경우는 디스크검사 유틸리티를 이용하면 된다.
먼저 시작메뉴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도구 에 있는 '디스크검사'명령을 수행시킨다. 창이 열리면 검사할 드라이브(여기서는 A드라이브)를 고른 다음, '시작'버튼을 누른다. 문제를 발견하면 그것을 고칠 것인지, 그냥 넘어갈 것인지 묻는다. '오류 수정'에 체크표시를 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된다.

 

CMOS셋업에서 A드라이브는 3.5인치 1.44MB로, B드라이브는 5.25인치 1.2MB로 세팅되어 있는데 윈도우즈95에서는 A와 B드라이브가 바뀌어 있습니다. 왜 그런거죠 ?

A. CMOS셋업에서 A드라이브를 1.44MB로 한다고 해서 3.5인치 1.44MB로 되는 것은 아니다. A드라이브냐 B드라이브냐를 결정하는 것은 디스크의 케이블에서 제어하게 된다. 플로피케이블을 보면 중간에 꼬여서 구멍이 난 부분의 아래쪽 위에 각가 2개씩, 모두 네 곳에 플로피 연결단자가 있다. 꼬인 부분의 윗쪽에 끼우면 A가, 아래쪽에 끼우면 B 드라이브가 된다. 즉, 꼬인 부분의 윗쪽을 3.5인치에 끼우면 A드라이브가 되는 것이다.
더 쉬운것은 CMOS셋업의 두번째 메뉴에서 스왑 플로피디스크(swap floppy disk)메뉴를 이용하는 것이다.이렇게 하면 본체를 뜯지 않고 쉽게 3.5인치 드라이브를 A로 셋티할 수 있다. 이때 CMOS에서 A를 1.2MB로, B는 1.44MB로 고쳐 놓는 것이 좋다.

 

원인:  FDD 동작램프가 전원을 켰을때 부터 계속 정등되어 있는경우.

A. FDD케이블의 1번선에는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습니다. 또한 A드리이브로 사용하려면 케이블의 중간선들이 한번 꼬여져 있는 부분을 사용해야 합니다. 여기서 케이블의 1번선과 FDD의 1번 핀을 바르게 연결하지 않으면 FDD동작램프가 동작을 하지 않아도 계속 점등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이런 증상에서는 케이블의 1번선과 FDD의 1번선이 바르게 연결 되었는지, 또 케이블의 1번선과 메인보드의 FDD포트의 1번핀이 바르게 연결됐는지를 다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Q. FDD케이블로 설정한 A:와 B:가 바뀌어져서 인식합니다.

A. 이런 경우는 CMOS SETUP상에서 옵션이 있습니다.
Swap FDD 또는 Swap Flopy Disk등등의 Swap이라는 부분이 Enable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이 옵션을 Enable로 하게된면 하드웨어적으로 잡아놓은 A드라이브와 B드라이브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바꾸어서 인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A드라이브를 5.25" B드라이브를 3.5"로 쓰고 있는경우에 Swap을 Enable로 지정하게 되면 A드라이브를 3.5"로 B드라이브를 5.25"로 인식하게 되므로 플로피 부팅경로도 바뀌게 되겠죠.

 

그동안 이상 없이 사용하던 중 며칠 전부터 3.5인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파일을 읽을 때마다 오랜 시간 시스템이 멈춰버리는 현상을 겪었다. 시스템을 조립한 지 얼마 되지 않아 3.5인치 드라이브의 문제는 아닌 듯 보였다.
A : 현재는 FDD를 사용하는 경우가 현저히 줄었다. 출시되는 대부분의 미디어가 CD-ROM을 이용하게 제작돼 있고, 보통 데이터의 크기도 1.44MB를 훨씬 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부팅디스크를 사용해 시스템을 복구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컴퓨터에 FDD가 필요하다.FDD 이상은 주로 미디어가 그 원인을 제공한다. 케이스가 견고하지 못해 미디어가 쉽게 손상되기 때문이다. 우선 FDD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가장 먼저 미디어를 교환해 확인한다. FDD 드라이브는 외부로 나와 있고 입구가 열려 있어 먼지가 많이 낀다. 게다가 요즘은 드라이브를 거의 사용하지 않아 먼지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려면 사용하지 않더라도 FDD 드라이브에 미디어를 삽입해놓는다. 디스켓을 완전히 삽입하지 않고 손으로 가볍게 밀어 어느 정도만 삽입해도 먼지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먼지 때문에 발생한 문제라면 컴퓨터 전문상가에서 전용 클리너 디스켓을 구입해 먼지를 제거한다. 케이블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케이블의 연결이 잘못됐을 경우에는 FDD 드라이브의 상태 LED에 계속 불이 들어와 있다. 이때는 케이블의 1번 선을 확인하고 제대로 장착해준다. 이외 바이오스에서 드라이브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도 있다. 바이오스를 확인해 드라이브 설정을 제대로 해주면 문제가 해결된다. 위의 경우 문제는 구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드라이브라 가장 먼저 케이블의 문제로 의심해 FDD 케이블을 교체하니 문제가 쉽게 해결됐다.

 

간단한 자료는 3.5인치 플로피디스크를 가지고 다니면서 저장하는데 종종 디스크 용량으로 불편을 겪는다. 1.44MB라고 돼 있으나 실제 저장 용량은 1.38MB 정도다. 자료 용량이 1.5MB 정도 되면 다른 디스크를 넣고 저장해야만 하는데, 윈도우 자체의 드라이브 압축 방식을 사용해보면 대략 2.5MB 정도의 공간이 잡힌다. 하지만 실제로 파일을 복사해보면 1.38MB 이상은 복사가 잘 되지 않는다.
A : MAXI DISK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된다. 해당 프로그램은 www. herne.com 사이트에서 Download -MAXI Disk for Windows v4.20을 다운로드받으면 된다. 다운로드받은 mdisk42. zip 파일의 압축을 풀어 해당 폴더를 연 다음 Max4w.exe 프로그램 실행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법은 아주 간단하다.
프로그램 창이 뜨면 Disk type 아래의 설정 값을 1.7meg[DMF]로 해준 다음 Do Format - NO 버튼을 차례로 누르면 된다. 포맷을 하고 난 플로피디스크의 총 용량은 약 1.75MB 정도고, 이중 실제 사용 가능한 공간은 1.66MB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