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머신이란?
가상머신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프로그램간의 물리적인 격차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컴퓨터환경을 가능케 구축하는 에뮬레이터 이다. 따라서 논리상으로는 운영될 수 없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현재 비슷한 종류의 가상 에뮬레이터가 퍼져있으나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는 VMware, 버츄얼박스, 버츄얼PC, 가상도스 에뮬레이터인 DOSBOX가 있다. 각기 장단점과 특화된점이 있어 개인 용도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프로그램마다 사용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궁극의 가상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돌리는 결과는 모두 같다고 봐야할것이다. 이번시간 부터 가상운영체제를 분석하고 탐험하는 여정을 출발해 보자.
1. 가상머신의 필수요소 이미지파일
가상머신의 용도를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제일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개념이 이미지파일(사진, 그림의 개념이 아님)이다. 이미지 파일이란 여러객체로 구성된 파일의 위치와 연결구조를 손실없이 하나의 단일팩으로 뭉친 파일덩어리로 정의할 수 있다. 주로 가상드라이브에 마운트하기위해 개발된 포멧형식이다. 그런데 당초의 원형파일을 쓰면 될것을 왜 복잡하게 이런 이미지파일들을 사용하는걸까? 결론은 원형파일을 읽어 들일 수 있는 드라이브 장치가 없기때문이다. 아주 먼 옛날에 사용된 플로피디스크나 집드라이 같은 매체들이 이젠 신기술에 밀려 유물로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등장한것이 가상머신이고 가상머신에 사용되는 드라이브가 바로 이미지파일을 읽어들이는 가상드라이브가 되는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가상머신을 정복하려는 기본적인 이유인것이다.
2. 가상드라이브에 사용되는 이미지파일 종류 (크게 플로피디스크 이미지와 CD롬디스크 이미지로 구분됨)
1) 플로피디스크 이미지란 : 가상머신에 단골로 등장하는 IMA, IMZ, IMG, BIF 등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은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 파일이다. 여기서 말한 디스크 이미지 (Disk Image)라는 것은, 사진이나 그림등의 개념이 아니라 물리적 디스크를 통째로 하나의 파일로 생성한 것이다. 따라서 플로피 이미지란, 플로피 디스켓 한 장 속에 든 모든 정보를, 고스란히 하나의 덩어리로 봉인한 것이다. 물론 플로피 디스크의 파일들을 단순히 하드로 복사하기만 해도, 내용을 가져올 수는 있으나 파일들의 위치 정보 등은 가져올 수 없다. 일반 파일들은 파일의 내용만 중요하지 파일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지만, 부팅에 사용되는 시스템 파일 등은 디스크의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으면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시스템 파일들을 하드로 정확히 카피해 오기 위해서는 탐색기로 복사해서는 안되고, 그 디스켓을 통째로 이미지로 만들어야한다. 이때문에 IMA, IMG, FLP, IMZ등의 부팅을위한 플로피이미지 파일이 개발된것이다. 이러한 이미지파일은 주로 WinImage라는 프로그램 툴(등)을 이용하여 만든다.
2) CDROM 디스크이미지: 실체 CD-ROM이 아닌 가상시디 드라이브에 마운하기 위해 개발된 포멧으로 대표적인 파일양식이 바로 ISO파일이다. 가상시디 구동 프로그램(데몬 툴 같은 프로그램)이나 씨디 라이터로 이미지를 시디롬으로 저장하거나, Winrar를 사용해서도 그 파일을 가동하거나, UltraISO, 네로, 알콜 등의 이미지 편집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만들거나 할 수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ISO 파일은 CD의 내용을 가상드라이브에서 읽을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형태로 재 가공한 것이다.
부팅에 사용되는 플로피 이미지 파일은 ISO 가상시디 파일에 부팅정보 파일이 있다면 ISO을 다루는 프로그램 툴을 이용하여 부트이미지를 추출하여
부팅이미지 파일로 만들 수가 있다. 따라서 ISO확장자를 가진 파일를 그대로 IMA, IMZ, BIF 등의 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는 없다. 이용할 수 있는 부분은 추출된 부트이미지만 가능하다. 예를들어 윈도우95부터는 부팅용 3.5인치 플로피가 사라지고 윈도우CD 하나로 부팅과 설치를 모두 전담한다 (이는 부팅디스크의 기능을 CD가 처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윈도우가 설치된 후에 필요에따라 시동디스크를 윈도우에서 만들수가 있는데 이때 부팅파일만 추출하게 된다. (CD전체 또는 일부파일만 복사하듯 추출불가)
3 프로그램툴에 따른 이미지
1) 플로피디스크 이미지 : WinImage 를 통해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플로피 이미지 파일(IMA, IMZ, VFD), 둘째, CD-ROM 이미지 파일(ISO), 셋째, 가상 하드 디스크 이미지 파일(VHD, VMDK) 이다. 이 중 WinImage 의 가장 큰 기능은 바로 주요 사용 목적인 플로피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다. 반대로 WinImage 를 통해 생성할 수 있는 플로피 이미지 파일의 형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이미지 파일(IMA), 압축된 이미지 파일(IMZ), 가상 플로피 이미지(VFD) 가 대표적이다. IMA와 같은 파일은 압축되지 않은 이미지 파일이며 파일의 크기는 디스켓 형식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즉, 1.44MB 형식의 이미지 파일이라면 이미지 파일이 비어있어도 파일의 크기는 1.44MB 가 된다. IMA 파일은 주로 다른 프로그램과의 호환을 위해 사용하는 저장 방식이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없는 컴퓨터를 위한 가상 플로피 생성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형식이다. CD의 부팅 이미지 파일 등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IMA 형식으로 저장을 하면된다.
압축된 이미지 파일은 IMA 파일을 압축한 파일이다. 압축되었기 때문에 IMA 파일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호환보다는 WinImage 자체적으로 사용할 때 많이 쓰이는 형식이다. 자동 추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IMZ 파일 형식으로 저장을 해야 한다. 가상 플로피 이미지 파일은 압축되지 않은 이미지 파일이며 IMA 파일과 마찬가지로 파일의 크기는 디스켓 형식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그외에는 VMware 가상머신에 쓰이는 FLP가 있으며 VM웨어의 플로피 드라이브는 FLP와 IMG 파일만 읽을 수 있고 IMA는 인식하지 않는다. 참고로 IMG 이미지 파일은 클론시디에서 추출되며 ccd,,cue,,sub,,img와 같이 생성된다.
2) CD ROM 디스크 이미지 : 대표적인 시디롬이미지 파일인 ISO는 네로, 알콜, UltraISO, WinISO. Folder2ISO 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이로서 생성된 이미지파일은 가상드라이브인 데몬과 DOSBOX, 가상머신인 VM웨어와 버츄얼박스, 버츄얼PC에서 마운트가 가능하다. 가장 많이쓰이는 범용성을 지닌 이미지 파일이다. 그외에는 CD Space의 LCD파일도 있다. 아래표를 보고 향후 가상머신을 운용하는데 있어 가볍게 참고로 하면 좋을것이다.
이미지파일 종류와 상호변환 프로그램 특징
1. DOSBOX SVN 다운로드 (DOWN) |
DOSBox는 도스를 설치하지 않고도 실제 도스가 설치된것과 똑같은 환경에서 도스전용 게임과 도스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도스용
가상에뮬레이터 입니다. 게임과 프로그램은 물론이고 도스박스 하나로 윈도우, 리눅스등 기타의 운영체제 설치도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마우스. 키보드. 그래픽과 사운드 드라이버를 내장하고 있어 다른 가상머신보다 도스사용이 편리하다는게 최고장점입니다
2. VMware workstation 15 PRO 다운로드 |
가장 많이 보급된 가상머신의 본좌입니다. 도스설치 및 모든 윈도우, 리눅스 설치가 가능하며 ISO이미지 파일로 각종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구동할 수 있습니다. 도스용 영역만 비교해보면 도스박스에 비해 드라이버 지원이 전혀 없습니다. 가상머신의 드라이버는 실제의 하드웨어
와 전혀 무관한 가상머신 프로그램에서만 작동되는 완전 별개의 드라이버 입니다. VM웨어의 드라이버는 윈도우XP 부터 VGA와 SOUND를
지원하며 WIN95와 98은 사운드 없이 VGA만 설치가능(수동으로 잡아줘야 됨) 합니다. 다이렉트X는 지원하지 않으며 XP부터 가능합니다.
사실 VM웨어의 VGA는 모든 윈도우에 똑같은 SVGAⅡ로 한정되어 있음. 결국 WIN95와 98 사운드는 사용자가 직접 인터넷을 찾아 설치해
줘야 합니다. 좀 더 편하게 VM웨어를 사용할 분들을 위해 확실하게 입증된 드라이버를 여기에 올려 놓았으니 편하게 다운받아 설치 하세요
(윈도우 3.1은 드라이버가 전혀 없음)
3. 오라클 버츄얼박스 VirTual BOX |
버츄얼박스는 오라클에서 만든 가상머신 엔진으로 VM웨어와 더불어 가상머신의 양대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한글을 지원하므로
상당히 많은 사용자 층을 확보하고 있기도 하죠. 버츄얼박스는 자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다루기 때문에 우선 버츄얼박스에 쓰이는
이미지 파일부터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래 표와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
1. VDI (Virtual Disk Image) : 이는 버츄얼 박스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전용 포멧방식 입니다. 만일 버츄얼박스에서 하드 디스크 타입을 VDI로 생성했다면 다른PC에서 이파일을 열어보기 위해서는 필히 버츄얼박스가 깔려있어야 합니다. 2. VHD (Virtual Hard Disk) : VHD는 버츄얼박스와 MS의 HYPER-V, 시트릭스와 호환되는 포멧이며 위와 마찬가지로 버츄얼박스 프로그램이 있어야 불러와 사용할 수 있는 버츄얼박스 전용 및 확장개념의 포멧입니다. 3. VMDK (Virtual Machine Disk) : VMDK는 VM웨어와 호환되는 디스크포멧으로 이를 열어보기 위해서 버츄얼박스와 VM웨어가 설치되어 있어야구동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플로피디스크 이미지는 대부분 맞는 포멧을 사용하면 됩니다. |
오라클 버츄얼박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확실히 VM웨어 보다 친숙하고 용이하군요
계속 이어서 MS-DOS와 버전별 윈도우 설치 및 드라이버 세팅을 체험해 보겠습니다 |
'PC 탐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머신 - 오라클 버츄얼박스 6.0.6 설치하기 (0) | 2019.05.16 |
---|---|
한글판 VM웨어7 - 한글 MS-DOS v6.2 설치하기 (0) | 2019.05.15 |
MS-DOS 자료와 도스박스 DOSBOX (0) | 2019.05.11 |
DOS용 CD-ROM (LG CD-ROM) 디스켓 드라이버 (0) | 2019.05.11 |
(1995년) 스크리머1의 부활 - 윈도우7 설치형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