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스박스 DOSBOX 자료
도스박스(DOSBox)는 MS-DOS 기반의 IBM PC 호환기종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도록 도스 환경을 구현해 주는 x86 에뮬레이터이다. 주로 옛 MS-DOS용 게임을 실행하는 데 사용한다. 아니면 일반적인 호환성 계층으로는 화면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거나 소리가 들리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며, 지나치게 빠른 속도도 적절한 빠르기로 조절해 준다. 도스박스는 오픈 소스이며 리눅스, FreeBSD, 윈도우 9x, 윈도우 NT 4.0, 윈도우 2000, XP, 비스타, 7, OS X, OS/2, 팜 OS, RISC OS, BeOS과 같은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실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GP2X로 포팅되기도 했다. 도스박스는 완전한 CPU 에뮬레이터로, 386 프로세서의 가상화 기능을 따르는 DOSEMU나 가상머신과 같은 단순한 호환성 계층이 아니다. 이것은 x86 CPU나 MS-DOS와 같은 도스가 필요하지 않으며, CPU가 리얼 모드 또는 보호모드 상태에 있어야 돌아가는 게임이나 응용 프로그램도 실행시킬 수 있다.
가상머신 도스박스 SVN 버전은 상단우측의 첨부파일에 게시되어 있다. 무설치판 이므로 다운받아서 압축풀고 바로실행이 가능하다. 아래는 도스박스 최신버전 한글판이다. 역시 무설치판으로 아래 구글 링크주소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도스박스 SVN 한글판 : https://drive.google.com/file/d/1i5yRmUr6LXJiAqIH-YaGY3glkfrbAmBD/view?usp=sharing 한글판은 다운받아서 압축을 풀면 아래화면과 같이 나오는데 DOSBOX 실행아이콘을 눌르면 한글버전이 실행된다
DOSBOX 한글판(2014.01.27 Up).zip
drive.google.com
2. DOSBox의 로컬 하드디스크 FIX하기
도스박스를 이용해 게임은 물론 윈도우를 부팅해야 할때도 많이 있는데 그때마다 가상머신의 로컬하드 드라이브를 매번 지정해주고 마운트하는것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도스박스에서 인식하는 가상 로컬디스크를 아예 픽스해버리면 도스박스를 실행할때마다 고정으로 로컬드라이브가 마운트 상태로 부팅이 시작된다
1. 실제 컴퓨터에서 도스박스의 (가상) 로컬드라이브로 마운트할 폴더를 만든다. 내경우는 호스트컴퓨터 C:DOS를 만들어 이를 도스박스 내에 가상로컬 드라이브로 지정코자 한다.
그다음 도스박스 폴더안에 있는 DOSBOX.CONF 컨피그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메모장 맨아래 위치한 [AUTOEXEC] 밑부분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저장한다. 이 폴더는 방금 위에서 실제로 만든 폴더를 입력한 것이다.
mount c "c:\dos"
c:
[autoexec] |
이말은 도스박스 안에서 보았을 때, 진짜 하드에 있는 C:\DOS_ 라는 실제 폴더를, 도스박스의 가상 C:드라이브로 삼으라는 뜻이다. 여기서 "C:\DOS" 라는 묶음 폴더명은 도스게임이나 한글 윈도우3.1이 설치될 디렉토리를 미리 만든 폴더명이고, 개인 각자의 지정 폴더는 다를 수 있다. 도스박스 속의 C는 가상의 C드라이브이다. 실제 하드에 있는 특정 폴더를 C드라이브로 에뮬레이션 (흉내내기)해 주는 것이다. 나는 C:\DOS 라는 폴더와 그 하위 폴더 속에 도스용 파일을 운용하고 있다. 따라서 내 경우에는 C:\DOS 라는 폴더를 DOSBOX의 가상 C드라이브로 삼아 운용하고 있다.
위에서 DOSBOX.CONF 를 메모장으로 수정하고 도스박스를 다시 실행한 모습이다. 회색박스 안의 내용이 변경사항이 적용되어 나타나는 표시이다. 이젠 번거롭게 도스박스를 켤때마다 C:드라이브를 마운트하는 고생은 안해도 된다. 물론 이렇게 FIX해 놓아도 언제든지 드라이브는 바꿀 수 있다.
4. MdirⅢ 도스탐색기 자료
MdirⅢ 프로그램은 도스전용 탐색기로 이해하면 된다. 복잡한 도스명령어를 몰라도 키보드 방향키로 메뉴를 실행하는 편리한 도스셸 프로그램이다. 도스박스는 물론 VM웨어 가상머신에도 실행되는 편리한 자료이다.
우선 MdirⅢ는 플로피디스크 형태의 디스켓파일과 가상플로피 마운트를 위한 플로피 이미지 파일로 존재한다. 플로피 디스켓의 일반 파일형식은 폴더를 그대로 C:지정폴더에 옮겨 도스창에서 M.EXE를 실행하면 된다. 반면 플로피 이미지파일은(IMA, IMG) 가상 플로피 드라이브에서 이미지로 마운트하여 실행한다. 아래에 MdirⅢ 일반 디스켓파일과 이미지파일을 비교해보자
MdirⅢ 일반 디스켓파일 (C:도스창에서 M바로 실행)
MdirⅢ 디스켓파일다운 : m3v310 DISK.zip
플로피 이미지파일은 가상 A드라이브에서 Mount as Image로 불러와 실행하면 된다.
MdirⅢ 플로피 이미지 다운 :
(아래는 도스박스에서 MdirⅢ를 실행한 모습)
MdirⅢ 에도 라이센스가 있다. 시리얼을 등록해보자.
시리얼을 등록하려면 MdirⅢ 폴더내의 MSET.EXE를 실행한다 (아래화면)
등록번호 : 2530-9224-0301-0744 / 이름 : doremi / 비번 4989
순서대로 입력했으면 필히 저장을 누르고 빠져나온다. 그리고 F12키를 눌러 About을 클릭하면 등록정보가 뜬다
1. MS-DOS 6.2 설치파일 : MS-DOS v6.2
3. WIN 이미지 ALL버전 : Win Image 9.0
4. 도스셸 Mdir Ⅲ v3.10 : MdirⅢ v3.10
5. DOS CD-ROM Dr : DOS LG CD-ROM
|
'PC 탐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판 VM웨어7 - 한글 MS-DOS v6.2 설치하기 (0) | 2019.05.15 |
---|---|
가상머신 (가상운영체제) 을 이해하고 정복하기 (0) | 2019.05.14 |
DOS용 CD-ROM (LG CD-ROM) 디스켓 드라이버 (0) | 2019.05.11 |
(1995년) 스크리머1의 부활 - 윈도우7 설치형 (0) | 2019.05.08 |
추억의 윈도우로 회귀하는 VMWARE WORKSTATION 15 PRO 가상머신 설치 (0) | 2019.05.03 |